‘손맛 있다’는 표현은 특별한 재능이 있다는 말 같지만 사실은 정확한 조리법을 알고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.
친정엄마와 똑같은 장과 재료로 만드는데 찌개 맛이 많이 다르다면 제대로 된 조리법을 배워볼 때. 매일 먹기 때문에 더더욱 맛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대한민국 대표 찌개, 김치찌개와 된장찌개의 표준 조리법을 배워본다.
돼지고기 김치찌개
[재료] 신김치 ¼포기, 돼지고기(목삼겹살) 300g, 대파(30㎝ 길이) 1뿌리, 양파 ¼개, 다시마 국물 4컵, 김칫국물 ½컵
[조미료] 다진 마늘ㆍ맛술ㆍ설탕ㆍ고추장 1큰술씩, 고운 고춧가루 1작은술, 간장 적당량, 후춧가루 약간
준비하기
1 김치는 소를 대강 털어내고 국물을 꼭 짜 3㎝ 길이로 썬다. 2 돼지고기는 두껍게 슬라이스한 다음 비계가 적당히 섞이도록 4~5㎝ 길이의 삼각형 모양으로 썬다. 3 대파와 양파는 굵게 채 썰고, 김칫국물은 체에 걸러 맑은 국물만 받아둔다.
만들기
1 냄비에 김치, 돼지고기, 다진 마늘, 맛술, 설탕, 고운 고춧가루, 후춧가루를 넣고 돼지고기와 김치가 어우러지도록 잘 섞으면서 볶는다. 2 김칫국물과 다시마 국물을 섞어 ①에 부은 다음 중간 불에서 끓이다가 고추장을 넣는다. 3 ②의 김치가 무르면 대파와 양파를 넣고 한소끔 끓인 다음 간장으로 간을 맞춘다. |
|
|
애호박 된장찌개
[재료] 애호박ㆍ양파 ¼개씩, 두부 ¼모, 대파(30㎝ 길이) 1뿌리, 청양고추ㆍ붉은 고추 1개씩, 국물 멸치 5마리, 쌀뜨물 4컵
[조미료] 된장 3큰술, 다진 마늘 ½작은술
준비하기
1 애호박과 두부는 사방 1.5㎝ 크기로 깍둑썰고, 양파와 대파는 1㎝ 길이로 송송 썬다. 청양고추와 붉은 고추는 송송 썰어 씨를 털어낸다. 2 마른 냄비에 국물 멸치를 넣고 볶아 비린내를 날린 다음 쌀뜨물을 부어 끓이고 국물 맛이 우러나면 베보에 걸러 멸치 국물을 만든다.
만들기
1 냄비에 멸치 국물을 넣고 끓이다가 된장을 체에 밭쳐 풀고 애호박, 양파, 대파, 청양고추, 붉은 고추, 다진 마늘을 넣어 한소끔 끓인다. 2 ①이 바글바글 끓어 재료가 어느 정도 익으면 거품을 걷어내고 두부를 넣어 1분 정도 더 끓인다.
|
|
|
다진 고기 순두부 김치찌개
[재료] 배추김치 ¼포기, 다진 쇠고기 200g, 순두부 1컵, 청양고추 2개, 대파(30㎝ 길이) 1뿌리, 식용유 1큰술, 쌀뜨물 3컵
[쇠고기 밑간] 청주 1큰술, 소금ㆍ후춧가루 약간씩
[조미료] 다진 마늘ㆍ설탕 1큰술씩, 소금 약간
준비하기
1 배추김치는 소를 털고 2㎝ 길이로 썬다. 2 다진 쇠고기는 분량의 재료를 넣어 조물조물 밑간하고, 순두부는 체에 밭쳐 수분을 뺀다. 3 청양고추와 대파는 송송 썬다.
만들기
1 식용유를 두른 냄비에 배추김치와 다진 쇠고기, 다진 마늘, 설탕을 넣고 볶는다. 2 ①의 배추김치가 반쯤 익으면 쌀뜨물을 붓고 끓인다. 3 ②의 배추김치가 부드럽게 익으면 순두부를 한 숟가락씩 떠 넣고 청양고추, 대파를 넣은 다음 소금으로 간한다.
|
|
|
해물 부추 된장찌개
[재료] 꽃게 1마리, 미더덕 100g, 새우살ㆍ부추 50g씩, 청양고추 2개, 붉은 고추 1개, 대파(30㎝ 길이) 1뿌리, 청주 1큰술, 생강가루ㆍ소금 약간씩, 다시마 국물 4컵
[조미료] 된장 3큰술, 다진 마늘 ½작은술, 소금 약간
준비하기
1 꽃게는 다듬어 등딱지를 없애고 4등분한다. 새우살과 미더덕은 소금물에 헹궈 건진다. 2 냄비에 물, 청주, 생강가루를 넣고 끓이다가 꽃게, 새우살, 미더덕을 넣고 살짝 데쳐 비린내를 없앤다. 3 부추는 2㎝ 길이로 썰고, 청양고추와 붉은 고추는 송송 썬다. 대파는 굵게 채 썬다.
만들기
1 냄비에 다시마 국물을 넣고 된장을 체에 밭치고 풀어 끓인 다음 데친 해물과 다진 마늘, 대파를 넣는다. 2 ①의 거품을 말끔하게 걷어낸 다음 부추, 청양고추, 붉은 고추를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.
|
|
|
|
|
|